프랑스 상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상원은 프랑스 의회의 상원이다. 1795년 장로원으로 시작하여, 제1제국과 제2제정 시대를 거치며 명목상의 입법 기구로 존재했다. 1814년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영국 상원을 모델로 귀족원이 신설되었고, 제4공화국에서는 공화국 평의회로, 1958년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현재의 상원 명칭으로 부활했다. 상원은 국민의회와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법안 제출 및 수정, 정부 견제 기능을 수행한다. 상원 의원은 간접 선거로 선출되며, 2024년 3월 기준 공화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상원은 국민 대표성 부족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하며, 파리 룩셈부르크 궁전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의회 - 프랑스 의회
프랑스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 기관으로, 1958년 헌법에 따라 운영되며, 정부 견제 및 입법 기능을 수행한다. - 프랑스의 의회 - 베르사유궁
베르사유궁은 프랑스 왕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웅장한 궁전으로, 루이 13세의 사냥 오두막에서 시작하여 루이 14세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바로크 건축 양식과 화려한 내부, 광대한 정원으로 유명하고 현재는 박물관으로 사용된다. - 프랑스의 정치 - 프랑스 의회
프랑스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입법 기관으로, 1958년 헌법에 따라 운영되며, 정부 견제 및 입법 기능을 수행한다. - 프랑스의 정치 - 2010년 프랑스 연금개혁법 반대 시위
2010년 프랑스 연금개혁법 반대 시위는 프랑스 정부의 연금 수령 연령 연장 개혁안에 반대하며 소득 불평등, 청년 실업 등의 불만이 폭발하여 전국적인 파업과 시위로 격화되어 프랑스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상원 - 미국 상원
미국 상원은 미국 연방 의회의 상원으로, 각 주에서 2명씩, 총 1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6년 임기, 단계적 임기제를 통해 선출되며, 연방 법률 제정, 대통령 인사, 조약 비준, 탄핵 재판, 그리고 선거인단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지 못한 경우 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상원 - 원로원
원로원은 고대 로마 원로원에서 유래하여 주로 양원제 국가의 상원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국가별로 구성 방식과 권한이 다르며 의회 외 다양한 조직에서도 사용된다.
프랑스 상원 - [의회]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상원 |
원어 명칭 | Sénat |
원어 명칭 (언어) | 프랑스어 |
로마자 표기 | Senat |
의회 | 프랑스 국회 |
상원 종류 | 상원 |
설립일 | 1958년 10월 4일 |
이전 의회 | 공화국 평의회 (제4공화국) |
다음 회기 시작일 | 2023년 10월 2일 |
회의 장소 | 뤽상부르 궁전, 파리, 프랑스 공화국 |
공식 웹사이트 | 프랑스 상원 공식 웹사이트 |
헌법 | 1958년 10월 4일 프랑스 헌법 |
내부 규정 | 상원 내부 규정(영어) |
의회 구성 | |
의장 | 제라르 라르셰 |
의장 소속 정당 | 공화당 |
의장 선출일 | 2014년 10월 1일 |
총 의석수 | 348석 |
임기 | 6년 |
의석 분포 | '공화당 그룹 (132)' '사회당 그룹 (64)' '중도 연합 그룹 (56)' '민주, 진보, 무소속 그룹 (22)' '공산당, 공화당, 시민, 생태 그룹 (18)' '독립파 - 공화국과 영토 그룹 (18)' '유럽 생태 녹색당 그룹 (16)' '민주 사회 유럽 연합 그룹 (16)' '무소속 (5)' '공석 (1)' |
선거 제도 | 간접 선거 |
첫 선거 | 1959년 4월 26일 |
최근 선거 | 2023년 9월 24일 |
다음 선거 | 2026년 9월 |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프랑스 제5공화국 출범 이후, 2011년 상원 선거에서 사회당이 처음으로 상원을 장악했다.[5] 그러나 2014년 상원 선거에서는 중도우파 골리스트와 그 동맹 세력이 상원 장악권을 되찾았고, 2017년 상원 선거에서도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2. 1. 초기 역사
프랑스의 상원에 해당하는 기관은 1795년부터 1799년까지 디렉토리 시대에 상원에 해당하는 장로원(Council of Ancients)이 처음 등장했다. 제1제정과 제2제정 시대에도 상원(각각 보수원로원, 프랑스 상원이라 불림)이 있었지만, 이들은 명목상 입법 기관일 뿐 실제로는 입법 기능이 없고 로마 원로원을 본떠 자문 기관 역할을 했다.
1814년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영국 상원을 모델로 한 귀족원(Chamber of Peers)이 신설되었다.[3] 초기에는 세습 귀족으로 구성되었으나, 1830년 7월 혁명 이후 종신직으로 임명되는 기관이 되었다. 1848년 제2공화국에서는 단원제로 회귀했지만, 1852년 제2제정이 수립된 후 상원이 다시 설치되었다.[4] 제4공화국에서는 상원 대신 공화의회(Council of the Republic)가 설치되었지만, 기능은 상원과 거의 동일했다. 1958년 10월 4일 발효된 제5공화국 헌법에 따라 상원이라는 기존 명칭이 부활했다.
시대 | 명칭 | 비고 |
---|---|---|
1795년 ~ 1799년 | 장로원 (Council of Ancients) | |
제1제정 | 보수원로원 (Sénat conservateur) | 명목상 입법 기관, 실제로는 자문 기관 |
부르봉 왕정 복고 (1814년) | 귀족원 (Chamber of Peers) | 영국 상원 모델, 초기 세습 귀족, 7월 혁명 이후 종신직 |
제2공화국 (1848년) | 없음 (단원제) | |
제2제정 (1852년) | 상원 (French Senate) | |
제4공화국 | 공화의회 (Council of the Republic) | 기능은 상원과 거의 동일 |
제5공화국 (1958년) | 상원 (Senate) |
2. 2. 왕정 복고 및 제2공화국 시기
1814년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영국 상원(House of Lords)을 모델로 한 귀족원(Chamber of Peers)이 신설되었다.[3] 초기에는 세습 귀족으로 구성되었으나, 1830년 7월 혁명 이후 종신직으로 임명되는 기관이 되었다. 1848년 제2공화국에서는 단원제가 채택되었지만, 1852년 제2제정이 수립된 후 상원이 다시 설치되었다.[4]2. 3.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1795년부터 1799년까지 프랑스 혁명력(French Directory) 시대에 상원에 해당하는 장로원(Council of Ancients)이 처음 등장했다. 제1제정(First French Empire)과 제2제정(Second French Empire) 시대에도 상원(각각 프랑스 헌법 수호 원로원(Sénat conservateur), 프랑스 상원(French Senate)이라 불림)이 있었지만, 이들은 명목상 입법 기관일 뿐 실제로는 입법 기능이 없고 로마 원로원(Roman Senate)을 본떠 자문 기관 역할을 했다.1814년 부르봉 왕정 복고(Bourbon Restoration) 이후 영국 상원(House of Lords)을 모델로 한 귀족원(Chamber of Peers)이 신설되었다.[3] 초기에는 세습 귀족으로 구성되었으나, 1830년 7월 혁명(July Revolution) 이후 종신직으로 임명되는 기관이 되었다. 1848년 프랑스 제2공화국(French Second Republic)에서는 단원제(unicameralism)로 회귀했지만, 1852년 프랑스 제2제정(Second French Empire)이 수립된 후 상원이 다시 설치되었다.[4] 프랑스 제4공화국(French Fourth Republic)에서는 상원 대신 공화국 평의회(Council of the Republic)가 설치되었지만, 기능은 상원과 거의 동일했다. 1958년 10월 4일 발효된 프랑스 제5공화국(French Fifth Republic) 헌법에 따라 프랑스 상원(Sénat)이라는 기존 명칭이 부활했다.
프랑스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대인 1875년부터 1940년까지도 프랑스 상원(Sénat)이라고 불렸으며 베르사유에 위치해 있었다. 프랑스 제4공화국(제4공화국) 시대인 1946년부터 1958년까지는 공화국 평의회(Conseil de la République)라고 불렸다. 프랑스 제5공화국(제5공화국) 성립과 함께 프랑스 상원(Sénat)이 되었고, 프랑스 의회의 일부를 담당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1년 상원 선거(2011 French Senate election)에서 사회당(Socialist Party)이 프랑스 제5공화국(제5공화국) 출범 이후 처음으로 상원을 장악했다.[5] 2014년 상원 선거(2014 French Senate election)에서는 중도우파 골리스트(Gaullists)와 그 동맹 세력이 상원 장악권을 되찾았고, 2017년 상원 선거(2017 French Senate election)에서도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
3. 구성 및 선거
2004년 9월까지 프랑스 상원의원의 임기는 9년이었고, 의원 수는 321명이었다. 이후 임기는 6년으로 단축되었으나, 프랑스 전체 인구 변화를 반영하여 의원 수는 346명으로 늘어났다.[15] 상원 선거는 3년마다 치러지며, 의석의 절반가량이 교체된다.[15] 12명의 상원의원은 프랑스 본토 외 거주 국민을 대표하기 위해 별도로 선출된다.[16]
3. 1. 선거 방식
프랑스 상원의원은 간접 선거로 선출되며, 약 15만 명의 선거인단이 투표한다. 선거인단은 지역 평의원, 시의원, 시장, 하원의원 등으로 구성된다.[15] 선거인단의 90%는 각 지역 의원들이 임명한 대의원들이기 때문에, 상원은 대도시보다 지방에 더 우호적이다.[8]상원의원 정수는 348명이며, 30세 이상의 프랑스 국민에게 선거권이 있다. 임기는 6년이고, 3년마다 의석의 절반이 바뀐다.[15] 12명의 상원의원은 프랑스 본국 영토 외 국민을 대표하기 위해 특별 선출된다.[16]
이러한 선거 제도는 국민의회에서 여당이 자주 바뀌는 것과 달리, 상원이 제5공화국 수립 이후 짧은 기간(2011년-2014년)을 빼고는 우파 정당이 장악하는 결과를 낳았다.[8] 2008년 상원 선거[9] 이후, 사회당은 프랑스 지역 대부분과 주 대부분, 인구 50% 이상을 대표하는 코뮌을 장악했음에도 상원에서 다수당이 되지 못해 논란이 일었다.[8] 사회당이 이끄는 좌파는 2011년 상원 선거[10]에서 1958년 이후 처음으로 상원을 장악하기도 했으나, 3년 후 우파에게 다시 상원을 내주었다.[8]
3. 2. 상원 의장
상원 의원은 상원 의장단을 자체적으로 선출한다.제라르 라르셰는 2008년 10월에 상원 의장으로 취임하였다. 제5공화국 헌법에 따르면, 상원 의장은 대통령이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하거나 공석이 될 경우 대통령직을 승계한다.
알랭 포에르 전 상원 의장은 샤를 드골의 사임(1969년)과 조르주 퐁피두의 사망(1974년)으로 두 차례 프랑스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상원 의장은 9명으로 구성된 헌법위원회 위원 3명을 임명할 권한을 가지며, 위원의 임기는 9년이다.

대 | 성명 | 취임일 | 퇴임일 |
---|---|---|---|
1 | 가스통 모네르빌 | 1958년 12월 9일 | 1968년 10월 2일 |
2 | 알랭 포에르 | 1968년 10월 3일 | 1992년 10월 1일 |
3 | 르네 모노리 | 1992년 10월 2일 | 1998년 10월 1일 |
4 | 크리스티앙 퐁슬레 | 1998년 10월 2일 | 2008년 9월 30일 |
5 | 제라르 라르셰 | 2008년 10월 1일 | 2011년 9월 30일 |
6 | 장-피에르 벨 | 2011년 10월 1일 | 2014년 9월 30일 |
(5) | 제라르 라르셰 | 2014년 10월 1일 | (현직) |
4. 권한
프랑스 헌법에 따르면 상원은 국민의회와 거의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법률안은 정부(''projets de loi'') 또는 의회 양원(''propositions de loi'')에서 제출할 수 있다. 양원 모두 법률안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의회와 상원 간의 합의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의 심의가 필요할 수 있다. 상원과 국민의회가 법률안에 대해 합의하지 못할 경우, 정부는 ''공동위원회(commission mixte paritaire)''라는 절차를 거쳐 최종 결정권을 국민의회에 부여할 수 있다. 국민의회는 일반적으로 정부와 같은 편에 서 있지만, 헌법 개정 법률의 경우에는 정부가 반드시 상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이러한 일은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양원은 결국 법률안에 합의하거나 정부가 법률안을 철회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권한은 특히 국민의회가 불신임안을 통해 정부를 해임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국민의회와 같은 편에 서 있을 경우, 국민의회가 입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17]
불신임안 또는 불신임 투표권은 제한적이다. 제4공화국 헌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새 내각은 신임 투표를 받을 필요가 없다. 또한 불신임 투표는 의원 10% 이상이 서명한 청원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며, 부결될 경우 서명한 의원은 그 의회 회기가 끝날 때까지 다른 청원에 서명할 수 없다. 청원이 필요한 지지를 얻으면, 불신임 투표는 투표에 참여한 의원이 아닌 모든 의원의 과반수 찬성을 얻어야 한다. 국민의회와 상원이 정치적으로 다른 다수당을 가지고 있는 경우, 국민의회가 대부분 승리할 것이며, 양원 간의 공개적인 갈등은 드물다.
헌법 제24조에 따라 상원은 지역을 대표하고 지방 선출직 공무원을 보호한다. 상원은 또한 매년 다양한 주제에 대한 많은 보고서를 발표함으로써 정부의 행동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국민의회와 함께 양원제를 구성한다. 일본이나 영국, 미국과 달리, 하나의 의회를 구성하는 원이 아니라, 양자 모두 독립된 의회이다. 내각의 신임·불신임이 국민의회의 전권 사항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원의 의결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헌법 개정을 제외하고 국민의회의 의결이 우선한다.
상원 의장은 대통령직이 공석이 된 경우, 대통령 대행을 맡게 된다.
4. 1. 입법 권한
프랑스 헌법에 따르면 상원은 하원과 거의 같은 수준의 권한을 가지며 법안이 국회, 정부에서 발의돼 논의될 수 있다.[17] 그러나 상원과 하원의 의견 일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정부는 하원에 최종 투표권한을 넘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17] 특정 사안에 대해 여론의 영향이 크게 발산되거나 분쟁 조짐이 격화될 경우에는 국회가 상원의 거부권을 묻기도 한다.상원과 하원 모두 법안을 제출하고 의결하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양측간의 결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차례 협상 혹은 교섭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가 아주 빈번하지는 않지만 양측이 대개는 동의 혹은 한 쪽의 의견에 동조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거나 정부가 해당 법안을 자체 철회한다. 하지만 이러한 권력 배분구조는 자연히 상원보다 하원에 정치적인 사안의 의결권에 더 많은 비중을 주며, 특히 선거 이후로 정부가 국회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에는 공공연히 하원에 더 많은 초점이 모인다.
합리성이 떨어지거나 무작정 입법안 통과를 추진하는 행위는 엄격히 제한되며, 새로운 내각이 반드시 상원의 동의 여부를 얻을 필요는 없다. 또한 반대 투표를 추진하게 될 경우 총 인원의 10% 이상이 반드시 이에 동의해야만 상정이 가능하다. 만약에 동의한 사안의 청원서가 거부되면 찬성으로 서명한 의원은 의회가 끝날 때까지 다른 청원서에 서명을 할 수 없다.
프랑스 상원은 여러 보고서를 펴냄으로써 정부의 조처에 대한 견제 역할을 수행하고 감시 역할도 함께 겸한다. 프랑스 헌법에 따라 상원은 국민의회와 거의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법률안은 정부(''projets de loi'') 또는 의회 양원(''propositions de loi'')에서 제출할 수 있다. 양원 모두 법률안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의회와 상원 간의 합의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의 심의가 필요할 수 있다. 상원과 국민의회가 법률안에 대해 합의하지 못할 경우, 정부는 ''공동위원회(commission mixte paritaire)''라는 절차를 거쳐 최종 결정권을 국민의회에 부여할 수 있다. 국민의회는 일반적으로 정부와 같은 편에 서 있지만, 헌법 개정 법률의 경우에는 정부가 반드시 상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국민의회와 함께 양원제를 구성한다. 일본이나 영국, 미국과 달리, 하나의 의회를 구성하는 원이 아니라, 양자 모두 독립된 의회이다. 내각의 신임·불신임이 국민의회의 전권 사항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원의 의결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헌법 개정을 제외하고 국민의회의 의결이 우선한다.
4. 2. 정부 견제 기능
프랑스 헌법에 따르면 상원은 하원과 거의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법률안은 정부나 의회 양원에서 발의되어 논의될 수 있다. 하지만 상원과 하원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정부는 하원에 최종 투표 권한을 넘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17]상원과 하원 모두 법안을 제출하고 의결하는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양측 간의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차례 협상이나 교섭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가 아주 빈번하지는 않지만, 양측이 대개는 동의하거나 한쪽의 의견에 동조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거나 정부가 해당 법안을 자체 철회한다.
하지만 이러한 권력 배분 구조는 자연히 상원보다 하원에 정치적인 사안의 의결권에 더 많은 비중을 두게 하며, 특히 선거 이후로 정부가 국회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에는 공공연히 하원에 더 많은 초점이 모인다.
불합리하거나 무작정 입법안 통과를 추진하는 행위는 엄격히 제한되며, 새로운 내각이 반드시 상원의 동의를 얻을 필요는 없다. 또한 반대 투표를 추진하려면 전체 의원 수의 10% 이상이 반드시 이에 동의해야만 상정이 가능하다. 만약 동의한 사안의 청원서가 거부되면 찬성으로 서명한 의원은 의회가 끝날 때까지 다른 청원서에 서명할 수 없다.
프랑스 상원은 여러 보고서를 펴냄으로써 정부의 조처에 대한 견제 역할을 수행하고 감시 역할도 함께 겸한다.
5. 정당 및 의원단
2024년 3월 4일 기준 프랑스 상원의 정당 및 의원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11]
의원 연합 | 의원 수 | 준회원 | 객원 | 총계 | 대표 | ||
---|---|---|---|---|---|---|---|
REP | 공화당 | 99 | 20 | 13 | 132 | 브뤼노 르테유 | |
SER | 사회당 | 64 | 0 | 0 | 64 | 파트릭 칸너 | |
UC | 중도연합 | 50 | 4 | 2 | 56 | 에르베 마르세유 | |
RDPI | 민주·진보·무소속 연합 | 20 | 2 | 0 | 22 | 프랑수아 파트리아 | |
CRCE-K | 공산·공화·시민·생태주의 | 18 | 0 | 0 | 18 | 세실 퀴케르만 | |
style="background:#66AAEE"| | LIRT | 무소속-공화국과 영토 | 18 | 0 | 0 | 18 | 클로드 말뤼레 |
GEST | 생태주의 | 16 | 0 | 0 | 16 | 기욤 곤타르 | |
RDSE | 유럽 민주사회주의 연합 | 16 | 0 | 0 | 15 | 마리즈 카레르 | |
RASNAG | 어떤 의원단에도 속하지 않은 상원의원들의 행정회의 | 5 | – | – | 5 | 크리스토퍼 슈추렉 (대표) | |
결원 | colspan=3 | | 1 |
2023년 기준 상원의 각 정파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13] 정파의 준 구성원에는 협력 의원(apparentés), 더 느슨한 관계를 갖는 자에게는 관련 의원(ratachés)의 지위가 주어지며, 정파별 의석수를 산출할 때는 정규 소속 의원과 동일하게 취급된다.[14]
정파명 | 약칭 | 의석수 | 구성 정당 | |||
---|---|---|---|---|---|---|
합계 | 소속 | 협력 | 관련 | |||
공화당 그룹 | LR | 132 | 99 | 20 | 13 | 공화당 등 |
사회당·환경·공화 그룹 | SOC | 64 | 64 | 0 | 0 | 사회당 등 |
중도연합 그룹 | UC | 56 | 50 | 4 | 2 | 민주독립연합 등 |
민주·진보·독립 합동 그룹 | RDPI | 22 | 20 | 2 | 0 | 르네상스 등 |
공산당·공화·시민·환경 그룹 | CRCE | 18 | 18 | 0 | 0 | 프랑스 공산당 등 |
독립·공화·지역 그룹 | LIRT | 18 | 18 | 0 | 0 | 지평선 등 |
환경·연대·지역 그룹 | EST | 17 | 17 | 0 | 0 | 없음 |
민주사회·유럽 합동 그룹 | RDSE | 16 | 16 | 0 | 0 | 좌익급진당 등 |
6. 비판 및 논쟁
상원의원들은 약 15만 명의 "그랑 엘렉퇴르(grands électeurs)"라고 불리는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 선거로 선출된다.[8] 그랑 엘렉퇴르는 지역 의회 의원, 주 의회 의원, 시장, 대규모 코뮌의 시의회 의원, 그리고 국민의회 의원들로 구성된다.[8] 하지만 선거인의 90%는 의회 의원들이 임명한 대의원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제도는 상원 구성에 있어 농촌 지역에 유리하게 작용한다.[8]
이러한 선거 제도는 국민의회에서 여당이 자주 바뀌는 반면, 상원은 제5공화국 수립 이후 짧은 기간(2011년-2014년)을 제외하고는 우파 정당이 장악해 왔다는 점에서 사회당의 불만을 샀다.[8] 2008년 상원 선거[9] 이후 논란이 커졌는데, 당시 사회당은 프랑스 지역 대부분(두 지역 제외)과 주 대부분, 그리고 인구의 50% 이상을 대표하는 코뮌을 장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원에서 다수당을 차지하지 못했다.[8]
상원은 국민의회에서 의석을 잃은 정치인들의 "피난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8] 사회당이 이끄는 좌파는 2011년 상원 선거[10]에서 1958년 이후 처음으로 상원을 장악하여 장피에르 벨(Jean-Pierre Bel)을 의장으로 선출하기도 했으나, 3년 후 인민운동연합(Union pour un mouvement populaire)이 이끄는 우파가 다시 상원을 탈환했다.[8]
상원은 다른 기관에 비해 유권자 중 시민(특히 지역 출신 시민에 비해 비시민)의 비율이 더 높고, 상원 유권자들은 일반 유권자에 비해 소득, 자본, 토지 소유가 더 많은 경향이 있다.[10]
7. 위치
상원 의회당은 파리 6번 구역의 뤽상부르 궁전 내부에 있으며 프랑스 공화정 수비대가 호위한다.
건물 앞에는 정원이 있으며 일반에 공개된다.
참조
[1]
뉴스
Gouvernement Barnier : le Sénat, pilier du gouvernement
https://www.la-croix[...]
2024-10-08
[2]
뉴스
Le Sénat va-t-il voir son poids politique renforcé avec le gouvernement Barnier ?
https://www.publicse[...]
2024-09-14
[3]
웹사이트
1814-1830 : La Chambre des Pairs de la Restauration
https://www.senat.fr[...]
2024-01-23
[4]
웹사이트
1851-1870 : Le Sénat du Second Empire
https://www.senat.fr[...]
2024-01-23
[5]
뉴스
French left seizes Senate majority, hurts Sarkozy
https://www.reuters.[...]
2011-09-25
[6]
웹사이트
Welcome to the French Senate - Sénat
http://www.senat.fr/[...]
[7]
웹사이트
Les groupes politiques
http://www.senat.fr/[...]
Senat.fr
2011-01-13
[8]
간행물
Les socialistes et le Sénat
http://www.parlement[...]
L'Harmattan
[9]
웹사이트
Sénat, le triomphe de l'anomalie
http://www.liberatio[...]
2008-09-25
[10]
웹사이트
Salaries in France: How much migrants earn
https://koronapay.co[...]
[11]
웹사이트
Liste des sénateurs par groupes politiques
http://www.senat.fr/[...]
Sénat
2024-03-04
[12]
웹사이트
Présidentielle : faut-il supprimer le Sénat?
https://www.lagazett[...]
[13]
웹사이트
Liste des sénateurs par groupes politiques
https://www.senat.fr[...]
2023-03-04
[14]
보고서
主要国の議会制度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7-09-23
[15]
웹사이트
http://www.senat.fr/[...]
[1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enat.fr/[...]
2008-05-18
[17]
법률
프랑스 헌법 제 45조
1958-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